티스토리 뷰

문이과를 선택할 때 보통 하고 싶은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서 고민한다. 하고 싶은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미래에 선택할 수 있는 진로의 방향을 어느 정도 결정하기 때문이다. 너무 먼 미래는 말고 10년 정도의 미래까지는 생각해보자. 미래의 자신이 가고 싶은 학과나 직업과 관련된 쪽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관심 있는 분야라도 좋다. 지금 당장 국어가 좋더라도 미래에 의사과 되고 싶다면 처음에 이과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서울대학교 형(오빠)과 누나(언니)들, 2만 명의 학생을 멘토링하다이 책은 진로 전문가들이 쓴 이론 위주의 진로 상담이 아니라 형(오빠)과 누나(언니)가 들려주는 경험 위주의 진로 상담이다. 즉, 진로에 대해 먼저 고민을 해 보고 서울대에 입학한 선배들이, 지금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청소년들에게 형처럼, 누나처럼 진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OECD 가입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청소년은 ‘삶의 만족도 최하위, 청소년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갖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은 행복하지 않다고 말한다. 왜, 대한민국 청소년들은 행복하지 않을까? 왜, 우리 아이는 행복하지 않다고 느낄까? 2010년 10월부터 시작된 전국 2만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멘토링]을 해온 3천명의 드림컨설턴트는 그 이유를 ‘꿈의 부재’라고 말한다. 서울대학교 [드림컨설턴트]는 서울시 사회공헌 NGO로서 대한민국 최초로 대학생 신분으로 청소년들에게 꿈에 기반한 멘토링을 시작하고, 활동하고 있는 단체다. 청소년들이 오로지 대학 진학만을 최대 목표로 한다면, 경쟁에 치여 살 수 밖에 없다. 인생의 목표는 뒷전인 채 하루하루 무의미하게 살아갈 수 밖에 없다. 드림컨설턴트는 대한민국의 행복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이미 청소년기를 보내고 지금은 대학생이 된 형과 누나들의 위로와 진심어린 충고를 통해 ‘공감’을 주고 있다. 이 책은 드림컨설턴트 중 풍부한 멘토링 경험으로 무장한 8명의 핵심 멤버가 저자로 참여하였다. 청소년들이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고, 자신의 꿈도 없고,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었던 아이들에게 꿈을 찾는 방법, 꿈에 대한 고민 등을 풀어갈 수 있는 노하우를 알려준다.

|추천의 글| 이 책은 열심히 공부를 하는 것이 내 꿈에 대한 예의라고 말합니다.
|프롤로그| 꿈을 찾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너의 길잡이를 찾아라
|서울대학생 1:1 멘토링 시스템|
|이 책의 저자를 소개합니다|
|이 책을 먼저 읽어본 학생들의 글|

PART 1. 설레는 그러나 고민되는 그 단어, 꿈
1장 꿈, 진실한 삶을 향한 날갯짓
01. 꿈이란? 너에게 행복을 주는 백지수표야
02. 꿈, 나만의 조각보를 만들어가는 것
2장 아직 꿈이 없니? 지금 시작해도 괜찮아!
03. 마네킹이 아닌 네가 입어 빛나는 옷을 찾아라
04. 꿈 찾기의 출발점, 새로운 경험을 시작하라
3장 꿈 앞에 놓인 장애물을 건너뛰기 위한 도약
05. 같은 길도 생각에 따라 전혀 다르게 걸을 수 있다
06. 성적 때문에 꿈을 포기하는 것만큼 부끄러운 일은 없다
4장 꿈을 꾼다 VS 꿈을 이룬다
07. 절박함만이 꿈을 눈앞에 가져다준다
08. 꿈이 무엇인지 너만의 정의를 내려라
[진로 멘토링 톡! Talk?] 대학생이라면 이건 꼭 해보자!

PART 2. 진로(進路)? 꿈을 향한 길, 멀지 않은 길
1장 꿈을 향해 달려가는 당신, 마인드컨트롤부터 시작하라
09. 꿈을 항상 눈에 보이는 곳에 두어라
10. 1분마다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온다
2장 당근과 채찍으로 키우는 집중력
11. 집중력, 당근과 채찍이 답이다
12. 책상 앞에 앉았다고 공부한 시간으로 착각하지 마!
3장 ‘위기’라 쓰고 ‘기회’라 읽는다
13. 사(4)가지로 위기 극복하기
14. 재밌는 이야기에는 언제나 우여곡절이 많다
15. 위기 때 멘토는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4장 슬럼프와의 전쟁에서 이기는 방법
16. 조급함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 쉬엄쉬엄
17. 모든 것을 ‘기회’로 인식할 때, 비로소 다시 출발할 수 있다
5장 학업은 꿈을 위한 최소한의 예의
18. 공부의 양이 곧 앞으로 찾아올 기회의 양이다
19. 내 꿈에 필요치 않는 공부는 과감히 버려라
6장 진짜 자기주도 학습이 뭔지 아니?
20. 언제까지 남에 의해서 살아갈 것인가
21. 자기주도 학습이 정답이다
7장 공부의 양, 최대치는 없어도 최소치는 있다
22. 전략적인 공부와 연습만이 살길이다
23. ‘열심히’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8장 그렇게 하니까 성적이 안 오르지!
24. 나의 공부법은 매일 진화한다
25. 성공한 선배의 학습법, ‘겉핥기’는 하지 말자
9장 고득점을 향한 갈증, 효율적인 공부법으로 해소하자!
26. 효율로 승부하자
27. ‘입력’과 ‘저장’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라
[진로 멘토링 톡! Talk?] 나는 대학생인가? 당신의 대학 지수를 알아보는 시간

PART 3. 전공과 직업, 순간의 선택이 네 인생을 좌우한다
1장 문과? 이과? 예체능?
28. 문·이과의 선택, 신중해야 하는 이유
29. 내 인생 첫 진로 선택, 그 무게에 눌리지 마라
30 누군가의 선택이 아닌 내가 좋아서 선택한 길
2장 전공 선택, 이것만은 알고 하자!
31. 학과 대전(大戰)
32. 이 학문이 내게 어떤 의미인지를 먼저 정하라
3장 간판 따라 대학가기 VS 소신 따라 대학가기
33. 대학 이름을 봐야 할까요, 학과를 봐야 할까요?
34. 점수 맞춰 가는 것이 꼭 틀린 것은 아니다
4장 자기 전공 더욱 탄탄하게 다지기
35. 우물 안 개구리 벗어나기
36. 추측하지 마, 다쳐!
5장 책에서 전공 관련 알짜배기 정보를 얻는 방법
37. 교수님이 집필한 전공 관련 서적과 칼럼을 찾아서 읽어라
38. 온라인 서점의 정보를 적극 활용하라
6장 전공과 직업, 비슷한 듯 다른 관계
39. 모든 선택은 무겁다
40. 학과 선택에 많은 시간을 쓸수록 인생을 낭비하는 시간이 줄어든다
7장 좋은(good) 직업 말고 잘 맞는(fit) 직업
41. 직업 선택 노하우, 그것이 알고 싶다
42. 내 경험과 내 인간관계가 내 직업을 알려준다
8장 직업 선택의 4가지 장애물 : 돈, 명예, 사회적 편견, 재능
43. 내 꿈의 높이는 내가 정한다
44. 편견, 깨고자 하면 깨질 것이다
45. 현실과 재능 사이에 노력이라는 다리가 있다
[진로 멘토링 톡! Talk?] 대학생활에 대한 환상 VS 현실

PART 4. 멘토들의 8인 8색 스토리
1장 멘토들이 들려주는 케이스 스토리
46. 목표달성의 쾌감, 버킷리스트로 시작하자
47. 무기력으로부터의 탈출, 뭔가를 이루어보는 것의 강렬한 기억
2장 참을 수 없는 전공 선택의 버거움
48. 전공 선택의 계기는 영화처럼 멋지지 않다
49. 예상치 못한 길, 대학교에서 만나다
3장 자기 ‘꿈’ 소개서
50. 쓸모없는 방황은 없다
51. 꿈꾸는 대한민국을 꿈꾸다
52. 선물 같은 사람이 되는 것
4장 학창시절 최대 난제 : 공부
53. 내 인생을 결정하는 데 3년은 매우 짧은 시간이다
54. 후회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5장 흔들리지 않고 피는 꿈이 어디 있으랴
55. 흔들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56. 돌다리도 건너본 사람이 잘 건넌다
6장 부모님의 기대를 대하는 나의 자세
57. 부모님의 기대보다 나 자신의 기대를 키워라
58. 기대에 쓰러지기 전에 부모님께 먼저 표현하라
7장 재수, 누구보다 성공적으로 보내기
59. 재수에 대한 프레임을 바꿔라
60. 이제 겨우 아침 6시, 눈뜨기도 힘든 시각이다

|에필로그| 꿈을 찾는 지도를 손에 쥔 당신, 이제 발걸음을 떼라!

[전자책 특별부록] 서울대 8인에게는 특별한 ‘시크릿’이 있다
[첫 번째 시크릿] 쏟아지는 잠 쉽게 다루기
61. 잠은 이겨야 하는 적이 아니라 달래야 하는 아이다
62. 수면시간 영리하게 쓰기, 7=6+1의 법칙
[두 번째 시크릿] 반드시 이기는 계획 세우기
63. 모든 계획에는 빈자리가 필요하다
64 친구와 함께 ‘계획 달성하기’ 경쟁을 하라
65. 큰 그림부터 그려라
[세 번째 시크릿] 알짜배기로 시간 관리하기
66. 자투리 시간이 차이를 만드는 시작이다
67. 시간이 없다고? 의지가 없겠지!
[네 번째 시크릿] 스트레스 죽이기
68. 때때로 마음이 원하는 것을 들어줘라
69. 공부만 하는 멍청이가 되고 싶은가?
[다섯 번째 시크릿] 영리하게 대인관계 유지하기
70. 꿈을 위해 대인관계를 포기하는 것은 ‘소탐대실’

※ 서울대 8인의 진로 콘서트 의 특별 부록인 서울대 공부법 시크릿 은 전자책(pdf)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습니다.꿈을꾸는마을 카페 http://cafe.naver.com/ourdreamvill행복한미래 홈페이지 http://www.bookeditor.co.kr

댓글